-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 (1992)조약 공부 2022. 11. 30. 18:06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hwp0.22MB(빈칸) 생물다양성에 관한 협약.pdf0.14MB
1992년 채택, 1993 발효
우리나라 1994년 10월 가입, 1995년 1월 발효
< 주요 내용 >
생물다양성협약은 전문(preamble)과 42개 조항의 본문 및 2개의 부속서(Annex)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내용은 크게 가입국의 생물다양성 보전의무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가입국간 협력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적 의무로는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국가전략의 수립, 생물다양성 구성요소의 조사 및 감시, 보호지역의 설정 등 현지내(in-situ) 보전조치와 종자은행 설립 등 현지외(ex-situ) 보전조치의 시행, 생물다양성 보전을 고려한 환경영향평가 수행 등이 있다.
가입국간 협력사항으로는 타국보유 유전자원에의 접근시 해당국의 사전승인을 받도록 하는 제도(PIC : Prior Informed Consent) 도입, 생명공학기술 등 생물다양성 보전기술을 다른 가입국에게 이전 촉진, 유전자변형생물체(LMOs : Living Modified Organisms)의 안전한 국가간 이동 및 관리를 위한 의정서 채택 검토, 개도국의 협약이행을 위한 재정지원 조항 등이 있다.
(출처 : 환경부)
조약문의 분량이 방대하므로, 주요내용 위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자료 (첨부파일)
반응형'조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0) 2022.12.02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생물다양성협약 카르타헤나 의정서 (0) 2022.12.01 교토의정서-파리협정 비교 (0) 2022.11.26 파리협정 (2015) (0) 2022.11.26 기후변화협약 교토의정서 (0) 2022.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