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런던덤핑협약(1972) 및 그 의정서(1996)조약 공부 2022. 12. 6. 12:50(빈칸) 런던덤핑협약.pdf0.10MB폐기물 및 그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 .hwp0.19MB
정식 명칭 : 폐기물 및 그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협약
(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and Other Matters )1972년 채택, 1975년 발효
우리나라 1993년 12월 가입, 1994년 1월 발효
< 런던 덤핑협약 주요 내용 >
- 해상투기의 내용과 범위를 규정
- 투기가 금지된 물질(부속서1) 및 투기에 사전 허가를 요하는 물질(부속서2)을 규정
- 핵폐기물은 고준위 방서성 폐기물만 금지됨.
(빈칸) 런던덤핑협약 의정서.pdf0.14MB런던덤핑협약에 대한 1996년 의정서.hwp0.25MB20여년 후 런던덤핑협약의 실효성이 퇴색되어 개정판 격인 1996 의정서를 채택하게 된다.
정식 명칭 : 폐기물 및 그 밖의 물질의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에 관한 1972년 협약에 대한 1996년 의정서
( 1996 PROTOCOL TO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DUMPING OF WASTES AND OTHER MATTER, 1972 )1996년 채택, 2006년 3월 발효
우리나라 2009년 1월 가입, 2009년 2월 발효
< 런던덤핑협약 1996의정서 주요 내용 >
- 기존 런덤덤핑협약의 당사국에게는 이 의정서가 기존의 협약을 대체함.
- 기존 협약에서는 투기 금지 물질을 나열하였으나, 의정서는 투기 허용 물질(8개)을 나열하여 이외에는 원칙적 금지함.
※ 기존 협약이 나열된 물질 외에는 '일반적 허용'이었던 것은 아닙니다. 기존 협약 제4조 1항에서도 '다음과 같이 규정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금지한다'고 명확히 규정되어 있습니다.
- 사전주의원칙, 오염자 비용부담원칙, 오염전가금지가 명시적으로 포함됨.
※ 의정서 상에는 '사전예방'이라고 표기되어 있고, 언론보도 등에도 사전예방원칙이라고 기재된 경우가 많으나, 내용상 '사전주의원칙'이 도입된 것으로 보는것이 학계의 정설입니다.
※ 환경영향평가의무를 명시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으나 정설은 아닌 것으로 보임.
- 해상소각 금지
- 당사국의 보고 의무 강화
- 방사성폐기물은 기존 협약은 고준위 폐기물만 금지하였으나 의정서에서는 모든 방사성폐기물을 금지함.
- 분쟁해결에 관해 중국은 2006년 9월 가입시 제16조 5항에 기초하여, 타국이 중국을 상대로 분쟁을 제기하는 경우 중국이 서면으로 동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타 국가의 쟁의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통지를 선언(Declaration)의 형식으로 하였다. 중국과 황해를 공유하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중요한 의미가 있음.
< 기타 참고 자료 >
런던협약 1996 의정서 가입 보도자료 (출처 : 대한민국 정책 브리핑)
1224(조간) 런던협약 96의정서가입(해양보전과).hwp0.08MB반응형'조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형사재판소(ICC)에 관한 로마규정 (0) 2022.12.09 환경과 개발에 관한 리우선언(1992) (0) 2022.12.07 유해폐기물의 국가간 이동 및 그 처리의 통제에 관한 바젤협약 (0) 2022.12.05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 (CITES) (0) 2022.12.02 바이오안전성에 관한 생물다양성협약 카르타헤나 의정서 (0)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