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로의 대우에 관한 1949년 8월 12일자 제네바협약 (제3협약)조약 공부 2023. 1. 4. 09:20(빈칸) 포로의 대우에 관한 1949년 8월 12일자 제네바협약 (제3협약).pdf0.23MB포로의 대우에 관한 1949년 8월 12일자 제네바협약 (제3협약) 원문-PDF.PDF0.28MB
조약이 방대하므로 모든 조문을 숙지하기보다 전체 구조 및 핵심 내용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용어의 정의에 관한 조항, 각 장의 첫번째 조항을 중심으로 학습하시되, 빈칸이 뚫린 조항도 유의하여 보십시오.
※ 이 번역문은 대한민국 정부가 공식채택한 조약문이나 1966년 당시의 국어로 번역되어 현재의 표준어 규정과 동떨어진 표기들이 있습니다. 자유로히→자유로이, 하드라도→하더라도, 띄다→띠다, 더우기→더욱이, 구좌→계좌, 주보→매점, 칫과→치과, 간호부→간호사, 곤난(하다)→곤란(하다), 군재→군사재판소/군사법원, 긍하여→걸쳐/한하여, 유언서→유언장, 회수→횟수 등.
제1편 총칙
제1조-제11조
제2편 포로의 일반적 보호
제12조-제16조
제3편 포로의 신분
제1부 포로신분의 개시 : 제17조-제20조
제2부 포로의 억류
제1장 총칙 : 제21조-제24조
제2장 포로의 숙사, 식량 및 피복 : 제25조-제28조
제3장 위생 및 의료 : 제29조-제32조
제4장 포로를 원조하기 위하여 억류된 의무요원 및 종교요원 : 제33조
제5장 종교적, 지적 및 육체적 활동 : 제34조-제38조
제6장 규율 : 제39조-제42조
제7장 포로의 계급 : 제43조-제45조
제8장 수용소에 도착한 후의 포로의 이동 : 제46조-제48조
제3부 포로의 노동 : 제49조-제57조
제4부 포로들의 금전 관계 : 제58조-제68조
제5부 포로의 외부와의 관계 : 제69조-제77조
제6부 포로와 당국과의 관계
제1장 억류 조건에 관한 포로의 이의 제청 : 제78조
제2장 포로대표 : 제79조-제81조
제3장 형벌 및 징계벌 :
Ⅰ. 총칙 : 제82조-제88조
Ⅱ. 징계벌 : 제89조-제98조
Ⅲ. 사법절차 : 제99조-제108조
제4편 포로 신분의 종류
제1부 직접 송환 및 중립국에서의 수용 : 제109조-제117조
제2부 적대행위 종료시의 포로와 석방과 송환 : 제118조-제119조
제3부 포로의 사망 : 제120조-제121조
제5편 포로에 관한 정보국과 구제단체
제122조-제125조
제6편 협약의 시행
제1부 총칙 : 제126조-제132조
제2부 최종규정 : 제133조-제143조
반응형'조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49년 제네바협약에 대한 제1추가의정서 (1) 2023.01.09 전시에 있어서의 민간인의 보호에 관한 1949년 8월 12일자 제네바협약 (제4협약) (0) 2023.01.05 전시인도법에 관한 제네바 협약 Geneva Conventions (1) 2023.01.03 핵무기의 비확산에 관한 조약 (NPT) (핵확산방지조약) (0) 2023.01.02 항공보안협약 요약/비교 정리표 (0) 2022.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