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오펜하이머>에서 엿보이는 미국의 対소련 핵조바심콘텐츠 2023. 8. 30. 19:24
영화 <오펜하이머>는 1940년대~50년대가 주 배경이지만, 30년대 얘기도 조금 나온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 1938년 독일에서 핵분열 현상을 최초로 발견하고, 이에 나치가 먼저 핵무기를 개발할까 두려워진 미국은 원자폭탄 개발을 서두르게 된다. 실제로 독일은 1939년 9월 1일 (히틀러가 폴란드를 침공한 바로 그날) 핵무기 개발과제인 Uranprojekt (우란프로옉트)를 시작하지만, 결과는 다들 알다시피 .....
막상 프로젝트가 시작되자, 영화상으로는 나치보다는 소련을 의식하는 장면이 여러번 나온다. 당대의 세계적 정치 구도상 파시즘에 대항하기 위해 어쩔수 없이 소련과 손을 잡았고, 종전 이후 국제적으로는 냉전, 국내적으로는 매카시즘 광풍이 몰아닥쳤다는 점, 실제로도 소련의 스파이가 침투해 있엇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당연한 설정이다. 또한, 영화의 전개와 주인공의 서사에서 공산주의는 빼놓을수 없기에 그런 점에서도 중요한 맥락을 가진다.
이 개발계획의 주요 타겟이었던 나치 독일이 생각보다 빨리 패망해버려 자칫 프로젝트의 존재 의미가 사라질뻔 하였으나.. 태평양 전쟁에서 소련의 업적과 전리품(동아시아에서 소련의 영토 및 영향력 확대)을 우려한 미국이 일본을 빨리 항복시키기 위해 실제로 투하하게 된다. 학자마다 해석의 차이는 있으나 소련과의 핵대결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과시 목적으로 투하한 것이라는 썰도 있는걸 보면...
영화에서도 포츠담 회담 개막(1945년 7월 17일) 이전에 폭탄 사용 준비를 완료해야 하기 때문에 트리니티 실험(7월 16일)이 시간과 날씨에 쫓기는 장면이 그대로 담겼다.
포츠담 회담(1945. 7. 17.~) - 미/영/소 참석
포츠담 선언(1945. 7. 26.) - 미/영/중이 일본의 무조건 항복 촉구
포츠담 선언문 내용 (1945년 7월 26일)
제1~5항: 서문. 일본의 무모한 군국주의자들이 세계 인민과 일본 인민에 지은 죄를 뉘우치고 이 선언을 즉각 수락할 것을 요구.
제6항: 군국주의 배제.
제7항: 일본 영토의 보장 점령.
제8항: 카이로 선언의 실행과 일본 영토의 한정 (일본의 주권은 혼슈, 홋카이도, 규슈, 시코쿠 및 부속도서에 한정됨.)
제9항: 일본군대의 무장해제.
제10항: 전쟁 범죄자의 처벌, 민주주의의 부활 강화, 언론, 종교, 사상의 자유 및 기본적 인권 존중의 확립. 제11항: 군수산업의 금지와 평화산업 유지의 허가.
제12항: 민주주의 정부수립과 동시에 점령군의 철수.
제13항: 일본 군대의 포츠담 선언 수락 (무조건 항복) 및 해체.영화는 오펜하이머의 1인칭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실제로 폭탄이 떨어지는 장면이나 그 이후 피해상 등은 나오지 않는다. 히로시마에 리틀보이를 투하 후 주인공의 내면 갈등은 점저 커지는 상황에서 왜 나가사키에까지 투하해야 했는가.. 영화속 오펜하이머는 이에 대해 "실제 사용하는것은 정책결정자(정치인)의 몫"이라며 선을 긋지만 타임 라인을 보면 명확해진다.
1945년
5월 8일 나치 독일 항복
7월 16일 트리니티 실험 성공
7월 17일 포츠담 회담 (~1945. 8. 2.)
7월 26일 포츠담 선언 (미/영/중)
8월 6일 히로시마에 리틀보이 투하
8월 8일 소련의 대일본 선전포고
8월 9일 나가사키에 팻 맨 투하
8월 12일~14일 소련군, 북한지역 (웅기, 청진) 점령
8월 15일 일본 무조건 항복
8월 6일 히로시마에 투하하였으나 일본이 뜻대로 고분고분 항복하지 않았고, 그러는 사이 소련이 진짜로 참전해버려 미국은 애가 탔을 것이다. 일본을 끝내고 소련의 영향력 확대도 잠재울 한방으로서 팻맨을 투하하였다. 미국으로서는 당장의 목적은 달성했으나 냉전과 군비경쟁, MAD(상호확증파괴) 등을 맞이하게 되었다.
리틀보이는 루즈벨트의 별명, 팻맨은 처칠의 별명이었다고 한다. 사진 출처 : 구글이미지 한편, 소련은 소련대로 맨해튼 프로젝트에 투입한 간첩들의 활약에 힘입어 생각보다 빠른 1949년 8월 핵실험에 성공하여, 미국의 절대우위체제는 종료하게 된다.
NPT 공인 핵클럽의 최초 핵실험 (원자폭탄) 성공
미국 1945년
소련(러시아) 1949년
영국 1952년
프랑스 1960년
중국 1964년
NPT 비공인 핵보유 국가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북한
7급 국가공무원 외무영사직 시험에 이와 관련하여 출제된 내용들은 다음과 같다.(매우 많지만 몇가지만 발췌). O 또는 X로 맞춰보시라 ㅋㅋㅋ
ㅇ 보스턴 프로젝트(Boston Project)의 결과로 최초로 핵무기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투하됐다.(2020년)
ㅇ 핵확산금지조약(NPT) 에 가입하지 않은 핵보유국으로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등이 있다.(2022년)
ㅇ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핵무기가 전장에서 직접 사용된 적은 없다.(2022년)
ㅇ 핵확산금지조약 은 미국, 러시아(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만을 공식적 핵보유국으로 인정한다.(2022년)
반응형'콘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3순위 상속 절차 후기 - ② 사망신고, 안심상속 원스탑 서비스, 상속절차 준비 과정 (0) 2025.02.27 부동산 3순위 상속 절차 후기 - ① 장례절차 (0) 2025.02.26 주 이란 미국대사관 인질사건과 영화 <아르고>, 책 <독수리 날개 위에> (0) 2023.08.24 리우 v. 폴란드 사건 (유럽인권법원, 2022.10.)과 기타 잡다구리 이야기 (피노체트, 유럽체포영장 등) (0) 2023.01.12 중국은 왜 비밀경찰서를 만들었을까 (feat. 김지윤의 롱테이크) (1) 2023.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