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영직
-
강제실종으로부터 모든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국제 협약조약 공부 2022. 10. 26. 13:35
인터넷에서 입수 가능한 이 협약의 번역본에 번역 오류 및 오타가 있습니다. 제26조 2항 : 의사 정족수 2분의 2가 아니라 3분의 2가 맞습니다. (원문 two thirds of the States Parties) 제31조 2항 라호 : 기존의 모든 국내구제 절차가 사용된 경우가 아니라 사용되지 않은 경우여야 문맥에 맞습니다. (원문 All effective available domestic remedies have not been exhausted.) (첨부된 파일에는 제가 맞게 수정해두었습니다.) 2006년 12월 채택, 2010년 12월 발효 우리나라 미가입 상태이나 지난 2022년 6월 국무회의에서 가입안을 심의/의결하였고, 국회에 가입동의안을 제출하였다. 국회가 가입(비준)동의 하면 UN사무총..
-
장인 공(工)이 들어간 비슷한 모양의 한자(어)헷갈리는 한자 2022. 10. 25. 13:47
* 모양이 유사하여 헷갈리는 한자들을 주관적 기준에 따라 정리한 것이며, 해당 한자의 부수와는 무관합니다. * 일본어 사전에 있는 한자만 정리하였습니다. (일부 예외 있음) 漢字 音訓(韓) 読み(日) 例 備考 功 공로 공 コウ 成功(せいこう), 功績(こうせき), 功労(こうろう) ク 功夫(くふう) ※ いさお 功 勲로도 씀 巧 공교할 교 コウ 巧妙(こうみょう), 利巧(りこう), 精巧(せいこう), 技巧(ぎこう) たくみ 巧み うまい 巧い 이외에도 うまい는 上手い, 美味い, 旨い 등 다양한 표기가 있음. (주로 히라가나로 표기함) 攻 칠 공 コウ 攻撃(こうげき), 専攻(せんこう), 攻守(こうしゅ), 攻略(こうりゃく), 侵攻(しんこう) せめる 攻める 巩 굳을 공 일본어 사전에 없음. 恐 두려울 공 キョウ 恐縮(きょ..
-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조약 공부 2022. 10. 25. 11:53
1990년 12월 채택, 2003년 7월 발효 대한민국 미가입 가입국 대부분이 중남미/동남아/아프리카의 저개발국가(인력 송출국)이고, 선진국들은 대부분 서명하지 않았다. ※ ILO의 취업이주협약(1949)과 별개임. 주요 내용 : * 나열된 기본적 권리의 내용 측면에서 A/B규약과 유사하고, 추방조치에 관한 내용이나 일부 사회보장제도의 내국민대우 원칙에 관한 부분에서는 난민지위협약과 유사합니다. 이주 노동자의 다양한 신분/범위 및 용어 정의 이주 노동자 간 비차별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이 체류지위와 상관없이 기본적 인권을 존중받을 권리 비정규적 상황에 놓인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에 대한 보호와 조치 불법체류 노동자 근절을 위한 당사국 간 협력 의무 모든 이주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 위원회 보고서 제도,..
-
고칠 경(更)/역사 사(史)와 유사한 한자(어)헷갈리는 한자 2022. 10. 24. 12:21
* 모양이 유사하여 헷갈리는 한자들을 주관적 기준에 따라 정리한 것이며, 해당 한자의 부수와는 무관합니다. * 일본어 사전에 있는 한자만 정리하였습니다. 漢字 音訓(韓) 読み(日) 例 備考 更 고칠 경/ 다시 갱 コウ 更新(こうしん), 更迭(こうてつ), 変更(へんこう) さら 更に, 今更 , 更なる ふける 更ける,夜更け ふかす 更かす,夜更かし 便 똥오줌 변/ 편할 편 ベン 便利(べんり), 便法(べんぽう), 簡便(かんべん), 不便(ふべん), 小便(しょうべん) ビン 便乗(びんじょう), 郵便(ゆうびん), 定期便(ていきびん), たより 便り,初便り,花便り よすが 便 縁로 표기하기도 함. 硬 굳을 경 コウ 強硬(きょうこう), 硬度(こうど), 硬直(こうちょく) かたい 硬い 史 역사 사 シ 史学(しがく), 歴史(れきし)..
-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 및 선택의정서조약 공부 2022. 10. 24. 11:58
2006년 12월 채택, 2008년 5월 발효 (선택의정서와 같이 채택/발효됨). 우리나라 2008년 12월 비준, 2009년 1월 발효 우리나라는 가입시 제25조 마항(생명보험가입시 차별금지)을 유보하였으나, 2021년 12월에 철회하였다. 주요 내용 :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권리와 이를 보호해야 할 당사국의 의무. 장애인 권리 위원회의 기능과 권한. 나열된 장애인의 권리는 A규약, B규약, 고문방지협약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며, 이 협약에만 규정된 특별한 권리는 이동성(mobility), 접근성, 지역사회에의 동참과 참여 등이다. 2006년 12월 채택, 2008년 5월 발효 (본 협약과 같은날 채택/발효됨). 우리나라 미가..
-
말 두(斗), 제후 후(侯)가 들어간 한자(어)헷갈리는 한자 2022. 10. 22. 13:28
* 모양이 유사하여 헷갈리는 한자들을 주관적 기준에 따라 정리한 것이며, 해당 한자의 부수와는 무관합니다. * 일본어 사전에 있는 한자만 정리하였습니다. 漢字 音訓(韓) 読み(日) 例 備考 科 과목 과 カ 科学(かがく), 外科(げか), 科目(かもく), 教科書(きょうかしょ), 前科者(ぜんかしゃ) こなし 科, 身の科 熟し로도 표기함 とが 科 咎(허물 구)로도 씀 料 헤아릴 료 リョウ 給料(きゅうりょう), 料理(りょうり), 材料(ざいりょう), 資料(しりょう), 食料品(しょくりょうひん), 無料(むりょう) 훈독 없음 斜 비낄 사 シャ 傾斜(けいしゃ), 斜面(しゃめん), 斜視(しゃし), 斜線(しゃせん) ななめ 斜め, ご機嫌斜め(ごきげんななめ), 斜め上, 斜め切り(ななめぎり) 魁 괴수 괴 カイ 首魁(しゅかい) 侯 제..
-
아동권리협약 제1~3선택의정서조약 공부 2022. 10. 22. 11:10
아동의 무력충돌 참여에 관한 아동권리협약 선택의정서 2000년 5월 채택 2002년 2월 발효 우리나라 2004년 9월 비준 2004년 10월 발효 주요 내용 : 18세 미만인 자는 당사국 군대에 원칙적으로 입대할 수 없으며, 15~17세는 엄격한 보호조치 아래 자원입대가 가능하다. 국가의 군대가 아닌 무장단체에는 어떤 이유로도 18세 미만인 자가 참여할 수 없다. (이 의정서에는 15세라는 숫자는 나오지 않으나 본협약인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의 제38조에 이와 관련된 내용이 나온다.) 아동의 매매·성매매 및 아동 음란물에 관한 아동권리협약 선택의정서 2000년 3월 채택 2002년 1월 발효 (제1 선택의정서보다 시기가 빠름 주의) 우리나라 2004년 9..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1989)조약 공부 2022. 10. 21. 15:44
1989년 11월 UN총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 1990년 9월 발효 우리나라 1991년 11월 비준, 1991년 12월 발효 우리나라는 비준시 3개 항목 유보를 부가하였다가 이후 2개항은 철회하였다. 제9조 3항 (부모 이혼한 경우 면접교섭권) --> 2008년 철회 제21조 (가)항 (아동 입양시 관계당국의 허가권) --> 2017년 철회 제40조 2-(나)-5항 (상소권 보장) --> 유보 유지 중 제1조 ~ 제40조 실제적인 아동의 권리 나열 - 시민적 권리 : 생명권, 국적권, 신분보존권, 의사표시권, 사상·양심·종교·집회·결사의 자유, 사생활의 권리 - 사회·경제·문화적 권리 : 가족동거권, 양육받을 권리, 건강·의료에 대한 권리, 사회보장, 교육권, 장애아동의 보호, 문화활..